본문 바로가기

Drone

(18)
DNA+ 드론기술개발사업,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컨소시엄(KT, LGU+ 참여) 선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부)에서 5G를 이용하여 고층 구조물을 관리하는 드론서비스인 DNA+드론기술개발사업에 대한 컨소시엄을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직접 진행합니다. 참여는 KT, LGU+ 등이 있습니다. DNA+드론기술개발사업이란? 1. D: Data 2. N: 5G(Network) 3. A: AI 를 뜻하며, 즉 DNA를 활용하여 드론 서비스를 개발하고, 향후 5년간 약 480억원이 투자 되는 큰 사업입니다. 이 사업의 목적은 실시간 실종자 수색, 고층 구조물 안전관리 등 킬러서비스 발굴과 실증이며, ETRI, KISTI, KT, LGU+, 아크릴(AI전문기업), 카이스트(KAIST)등 25개 기관이 참여합니다. 국내에서 미래 글로벌 드론서비스 시장 선점을 위해서 드론 및 5G 이동통신, 인공지..
국내에서 개발한 클라우드+딥러닝 기술을 탑재한 스마트 농업 드론의 기술? 한국생산기술연구원과 메타로보틱스에서 방 진행상태를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농민, 조종사, 제조사 간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방제 드론 지능형 작업관리 시스템'을 공동 개발하였습니다. 기존의 농업 드론의 경우 매우 얇은 전선이나 장애물, 전봇대, 나무, 비닐하우스 등에 충돌하거나 기타 통신 문제로 추락하는 사고가 다방면으로 발생했었는데요.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지능형 농기계연구그룹 양승환 박사와 메타로보틱스가 함께 움직이는 공동연구팀에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방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을 기반으로한 드론을 약 1년 8개월 만에 성과를 내었습니다. 스마트 농업 클라우드 기술이란? - 실내 작업자가 근거리무선통신(NFC) 태그가 부착된 스마트폰이나 장비를 소지하고..
삼성전자 드론 신규 솔루션! 그리고 삼성 드론 출시 임박? 고프로가 드론 사업 접은 이유? 미국의 경우 아마존, 페이스북, 구글 등 IT 공통 업계에서 드론을 활용하여 신사업 공략에 집중되고 있는데, 국내에서도 SK, LG, KT 뿐 아니라, 최근 삼성전자에서도 드론을 활용하여 5G기지국 점검 솔루션을 공개했습니다. 첫번째, 삼성전자에서 시도하는 솔루션은, 수원에 있는 디지털 시티에 설치된 기지국들을 드론을 활용하여 안테나의 설치 상태는 전송하는 방식인데요. 기지국이나 안테나의 설치 각도에 따라 서비스 커버리지를 결정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간섭을 최소화해서 끊기지 않고 초고속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이 솔루션의 핵심이라고 봅니다. 이쯤 되면 다들 아시다시피, 엔지니어 즉, 사람이 직접 개별 장소에 일일이 방문할 경우 무겁기로 소문난 측정 장비를 활용해서 직접 올라가고 측정하고 하다보니..
SK에서 드론으로 원유탱크 점검 최초 실시, SK에서 추진하는 3가지 전략은 대체 뭘까? SK에너지는 2020년 5월 울산 콤플렉스의 원유 저장탱크 34기에 대한 점검을 드론을 통해 실시합니다. 이 저장탱크의 저장 용량은 약 2000만 배럴정도 되고 한국의 하루 소비량의 8배가 되면서 1개의 저장탱크가 기존의 구축되어있는 서울 장충 체육관보다 크다고 합니다. 원유 저장탱크는 현행법상 5년 ~ 6년을 주기로 점검을 실시해야 하는데 이전에는 사람이 직접 올라가 점검을 했고 높은 탱크 벽면을 점검하기 위해 비계시설도 설치했는데 비계시설 설치비가 상당히 많이 나와 경제적이지 못했는데요. 다시 말해, 울산콤플렉스는 탱크 검사를 위해 11년 주기 기존 정기검사 별도 중간 검사를 도입했고, 앞으로 매년 3~4기만 점검했던 것을 6~8대를 점검해야 되다보니, 시간을 줄고, 점검량은 많아져서 드론을 사용하지..
ADT캡스, SK텔레콤과 국내최초 자유비행시스템 단국대 천안서 시범운영 ADT캡스가 국내 최초 자율비행시스템을 시범 운영을 시작합니다. 2020년 6월 11일부터 시작했고, 장소는 단국대학교 천안 캠퍼스 입니다. 드론 자율 비행 시스템은 드론이 스테이션에서 자동으로 이륙, 착륙하고 자동 충전하면서 미리 정해놓은 구역을 자율적으로 순찰하며 데이터를 수집하는 무인 경비 솔루션입니다. 가장 장점은, 조종 인력 없이 드론 스스로 영상을 촬영하여 분석하면서도, 이상 감지 시 기존의 CCTV와도 연계하여 긴급 신호를 전송하고 출동을 요청하는 일명 '통합 관제 시스템'이 지원되고 사람이 수시로 확인하기 어려운 지붕이나 옥상 등의 구조물을 비행만으로 간편하게 확인이 가능하다는 것이며,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 균열 발생으로 인한 화재 발생이나 가스 누출 등을 감시할 수도 있습니다. 단국대학교..
초경량비행장치 신고,말소 업무에 대한 항공안전법 '20년 6월 개정공포! 국토교통부에서 항공안전법의 일부가 개정되어 2020년 6월 9일에 공포되었습니다. 국토교통부(지방항공청)에서 직접 진행하던 초경량비행장치 신고,말소 업무를 한국교통안전공단으로 위탁하였으며 초경량비행장치 조종자 자격증명 발급과 안전교육 업무 등을 담당하는 것 또한 앞으로 한국교통안전공단이 진행합니다. △ 초경량비행장치 신고ㆍ말소 업무를 한국교통안전공단으로 위탁(법 제135조 관련) ↓ 관련 내용 ↓ 제135조(권한의 위임ㆍ위탁) ① 이 법에 따른 국토교통부장관의 권한은 그 일부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특별시장ㆍ광역시장ㆍ특별자치시장ㆍ도지사ㆍ특별자치도지사 또는 국토교통부장관 소속 기관의 장에게 위임할 수 있다. ② 국토교통부장관은 제20조부터 제25조까지, 제27조, 제28조 및 제30조에 따른 증명..
DJI에서 조종자 케어 서비스(DJI Care Refresh)를 실시합니다. 최근 중국의 DJI에서 조종자(소비자)를 대상으로 드론 A/S서비스 플랜 'DJI 케어 리프레시(DJI Care Refresh)'를 2020년 5월 27일에 실시 하였습니다. 이제 조종자는 드론이 충돌하거나 침수할 경우 제품 교체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DJI 케어 리프레시란? - DJI 제품 손상에 대한 보상을 제공해 제품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 서비스 플랜입니다. 이 서비스는 12개월간 유효하며, 정상적인 사용 중에 우발적 손상이 발생한 경우 자기 부담금을 지급하고 최대 2회 교체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교체를 요청할 떄마다 새 제품 또는 성능과 안정성에서 새제품과 동일한 교체품을 받을 수 있습니다. DJI 케어 리프레시 서비스를 사용하려면 조건이 있다고 합니다. DJI 케어 리프레시..
초경량비행장치 사용사업 신고 및 기체 신고 방법('20. 기준) http://bitly.kr/XmA4QhU70R http://www.law.go.kr/%EB%B2%95%EB%A0%B9/%EB%93%9C%EB%A1%A0%ED%99%9C%EC%9A%A9%EC%9D%98%EC%B4%89%EC%A7%84%EB%B0%8F%EA%B8%B0%EB%B0%98%EC%A1%B0%EC%84%B1%EC%97%90%EA%B4%80%ED%95%9C%EB%B2%95%EB%A5%A0/(16420,20190430) www.law.go.kr 2020년 5월 드론법이 등록되면서 초경량비행장치 사용사업을 위해 자료를 찾다보면 옛날 버전과 현재 버전이 섞여서 내용이 확인이 되서 어떻게 해야될지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재정리하였습니다. 2017년 항공안전법에 초경량비행장치가 추가되면서 산업 촉진을 위해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