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one (18) 썸네일형 리스트형 드론 주파수(RF)와 통신 주파수(LTE/5G)의 차이, 그리고 드론 산업을 위한 주파수 개정 드론에는 조종기의 명령 권한을 통해 RF(Radio Frequency)라는 주파수로 2.4GHz 또는 5.8GHz를 이용하여 비행합니다. 과거 몇년 전에만 해도 2.4GHz의 사용은 2.4GHz로만 하고, 5.8GHz의 사용은 5.8GHz로 했는데, 요즘에는 Dual System 이라고 DJI에서 호핑방식으로 간섭에 대응하기 위해 2.4GHz와 5.8GHz를 활용하면서 비행하고 있죠. 와이파이를 이용해서 스마트폰과 드론을 연결해서 사용도 가능하지만, 주파수 거리 때문에 비행 거리가 제한이 됩니다. 드론 주파수 밴드 포맷에 대해 잠깐 설명드리겠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저주파수라고 불리는 433MHz 대역은 UHF라고 하며, Ultra high frequency(극초단파)로 불립니다. EIRP는 Effectiv.. UTM과 드론 통신 방식의 진화 ■ 드론 통신 방식 현재 드론 통신 방식은 FC(Flight Controller)_비행조종장치와 GCS(Ground Control System)_지상관제시스템 통신을 위한 1차적 장치와 별도의 영상정보 전송을 위한 장치를 혼용해 사용한다. 그리고 드론은 비행에 필요한 통신을 위해 조종기 및 송신기를 연결하고 드론 내부에는 RC 수신기와 FC를 연결해 사용한다. 현재 드론 조종 방식 송출 수신 RC 조종기 / 드론 조종기 RC 수신기 RC 송신기 드론 FC 영상 송수신을 위해서는 별도의 통신 장치를 이용해 GCS와 영상 수신 장치를 연결하고 드론 내부에는 카메라와 영상 송신 장치를 연결해 사용한다. 드론 업계에서는 영상 통신 및 드론의 FC와 통신을 모두 일컬어 데이터링크라는 용어를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 드론 관련 기술용어 [1:안티드론 기본정보] ■ 안티 드론 가. 안티드론 기술(Anti-drone Technology)란? 1) Anti-drone Technology 혹은 C-UAS(Counter Unmanned Aerial System)이라고도 하며, 한국에서는 안티드론시스템으로 통칭하여 표현함 2) 조종자가 불법 혹은 미인가 된 드론이 비행금지 및 제한구역(Prohibit Area, Restrict Area)에서 비행할 경우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을 방지 혹은 대안을 마 련 하고자 초경량비행장치(드론)을 탐지, 추적하는 시스템이 등장, 대표적으로는 드론탐 지를 위한 통합레이더(레이더,EO/IR카메라,Jamming Sensor), 드론탐지 RF센서가 있음 ※단, 업체마다 명칭 하고자 하는 이름은 다를 수 있음 나. 한국에서 지정..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드론, 미국 항공청(FAA) 최고 안전등급 최초 휙득! 한국드론이 성장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개발한 인공지능 AI 드론용 핵심 소프트웨어가 미국 연방 항공청(FAA)의 안전성 시험 과정 절차를 거쳐 국내 기관 중 최초로 를 휙득했습니다! 이 인증서는 유인 항공기를 비행하거나 엔진을 제어하는 것에 대해 안전을 보장하기위한 필수 휙득 인증서이라고 하니, 대단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거죠. 비행제어를 사용하는 자율비행드론과 유인비행드론에 보탬이 될 것 같아요. ETRI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는 가상화 기술인 입니다. 어스(EARTH)란? - 하나의 하드웨어에서 이종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복수 시스템 - 무게와 전력 소모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핵심기반 SW - 하나의 장치에서 여러 OS가 동시에 작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가상화 기술 - 64bit Multi Core 지.. 인천항만공사 '안티드론시스템' 추진, 안티드론시스템이란? 인천항만공사(Incheon Port Authority)에서는 비행금지구역 및 비행제한구역 등, 안전에 위협이 되는 장소에 불법/미인 드론(초경량비행장치: UAV : Unmanned Aerial Vehicle, 이하 UAS : Unmanned Aerial System)의 비행에 대응하기 위해 안티드론시스템(Anti-Drone System, C-UAS(Counter Drone System))을 도입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인천항만공사(Incheon Port Authority)는 '인천항 안티드론시스템 도입'을 위해 컨설팅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구체적인 사안은 곧 나올 예정이니 관심 있으신 분들은 정보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작년에 해외에서 가장 큰 드론 이슈 사건이 있었는데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 DJI 매빅3 출시일을 미루고 매빅2 스펙을 넘어버린 스카이디오2! 매빅2보다 두뇌회전이 빠르다는 <NVIDIA Tegra, TX2> 이정도야?? 안녕하세요 주드론입니다. 이전에 DJI 매빅3 출시일에 대해 설명한 바가 있는데요. 상반기 출시일이 미뤄진것 같습니다. 초반에는 2020년 1월에 출시한다는 루머가 있다가, 최근에는 2020년 상반기에 출시한다는 말이 있었는데 지금은 아마 하반기로 미뤄진것 같아요. 아무런 오피셜을 주지 않고있어요. 그렇게 된 이유가 최근에 출시된 Skydio사의 를 견제하기 위함일수도 있을 것 같네요. 매빅3는 아마도 Skydio2 와 매빅2 혹은 매빅에어를 결합한 새로운 성능으로 출시하지 않을까 합니다. 매빅3에 걸맞는 제품이 나와야하니까요. DJI명성을 이어가야할겁니다. 그럼 Skydio2에 대해서 한번 알아봅시다! 스펙만 봐도 뭐, 매빅2랑 엄청나게 차이가 있지는 않죠? 3축 짐벌에, 50% 비행소음, 4k영상촬영.. '드론 통신 프로토콜 국제 표준 제정 프로젝트' 한국 채택! 드론과 드론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ISO/IEC 표준화회의에서 '저고도 드론 간 통신 프로토콜' 과제를 채택했다. 2020년 3월 23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부) 국립전파연구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시스템 간 통신과 정보교환을 다루는 국제표준화회의(ISO,IEC, JTC1, SC6)에서 한국이 제안한 '저고도 드론 간 통신 프로토콜'등 관련 신규 프로젝트가 국제 표준과제로 채택되었다고 합니다!! 다시말해, 이종(異種)드론끼리 통신이 가능해진다는 건데요!! 무슨말이냐구요? 현재 드론은 제조사마다 프로토콜이나 통신 규격이 달라서 서로 다른(이종) 드론 간에 정보 교환이 되지 않았거든요. 근접 비행 시 서로 통신이 엉켜 충돌 위험이 발생하기도 하고, 여러 대의 서로 다른 드론이 동시에 비행하기가 어렵.. 매빅3 출시 예정..!?! 그리고, 드론이 나아가야할 방향 안녕하세요. 주드론입니다. 요즘 매빅3 출시에 대한 이슈로 해외포럼에서 난리인데요. 2020년 여름 시즌에 매빅3를 출시한다는 얘기가 돌고 있습니다!! 소문에 의하면, 2019년 10월 1일, Skydio2가 출시된 직후, 매빅3 출시에 대한 소식을 누설, 소문을 퍼뜨렸다는것은 우연은 아닐겁니다. 아마 준비는 되어있겠죠. 기술도 이미 준비가 되어있을수도있구요. 소문에 의하면, 매빅3의 대표적인 스펙은 이러합니다. 1) ActiveTrack 3.0 탑재 - 팔로우 기능 등 여러 기능들이 업그레이드 2) ADS-B Receiver 항공송수신장치 탑재 - 주변항공기 보호 및 항공기 송수신 인식을 위한 탑재(항공안전 및 항공질서) 3) 4K 60fps Capabilities 4) 10 sensors in the..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