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주드론입니다.
요즘 매빅3 출시에 대한 이슈로 해외포럼에서 난리인데요.
2020년 여름 시즌에 매빅3를 출시한다는 얘기가 돌고 있습니다!!
소문에 의하면, 2019년 10월 1일, Skydio2가 출시된 직후, 매빅3 출시에 대한 소식을 누설, 소문을 퍼뜨렸다는것은
우연은 아닐겁니다. 아마 준비는 되어있겠죠. 기술도 이미 준비가 되어있을수도있구요.


소문에 의하면, 매빅3의 대표적인 스펙은 이러합니다.
1) ActiveTrack 3.0 탑재
- 팔로우 기능 등 여러 기능들이 업그레이드
2) ADS-B Receiver 항공송수신장치 탑재
- 주변항공기 보호 및 항공기 송수신 인식을 위한 탑재(항공안전 및 항공질서)
3) 4K 60fps Capabilities
4) 10 sensors in the visual system for better obstacle avoidance 더 나은 회피기술을 가진 10개의 비주얼 센서
5) VisionSync 3.0
6) Ocusync 3.0 DJI 전용 보안 프로토콜
- 28ms 전송속도, 최대 10km 비행거리, 60mbps 영상 전송 속도
- 비행 보안 안전성 강화
7) Hasselblad HNCS Technology
- 밑에서 설명
매빅3는 Hasselblad 기술이 함께 나올 확률이 높다고 합니다.
Hasselblad HNCS 기술이란, 원래 용어는 "Hasselblad Natural Color Solution(핫셀블라드's 자연색보정 프로젝트)"입니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별도로 색감을 선택할 필요없이 최고의 자연색을 만들어주는 기능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즉, 색감의 알고리즘을 계산하고 CMOS감도와 필터 특성을 최대한 고려하여 가능한 한 자연스러운 색상을 생성하는거죠. 색 영역 사용이 필요한 사용자들을 위해서는 "Hasselblad L+RGB' 프로파일도 있습니다.
핫셀 블라드에 대해서는 따로 설명 드릴게요!

HNCS는, 기본 RGB색상 값을 가지기 위해 다양한 수학적 요소들을 적용하는 과정이 인간의 눈으로 보는 것과 일관되게 컬러매칭이 가능하도록 하는 솔루션이라는 것!! 굉장히 좋은 기술이죠 ㅎ
매빅3에는 "Active Track 3.0"이 탑재가 될건데요, OstiLV에 따르면, V10 비주얼 카메라와 64메가픽셀의 데이터를 활용한다고 하고, 매빅3는 GPS없이도 홈복귀(RTH)기능이 가능하도록 설계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매빅2의 경우, 4.9메가픽셀 데이터를 사용하고, 매빅에어는 1.9메가픽셀 데이터를 사용합니다.)
대항마로 떠오르는 Skydio2는 미국산이며, 10년간의 연구결과물이라고 볼 수 있고, DJI와 거의 흡사한 회피기능과 AI기능이 보유되어 있습니다. 그외에 비슷하게 출시된 드론은 Autel Robotics의 Autel Evo2도 있습니다만, 한국에는 현재 전파법에 의해 사용하지 못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개인이 몰래 사용하는 것도..! 안됩니다 원래는!
- Autel Evo2의 가격은, 약 $1495
- Skydio2의 가격은, 약 $999
그 밖에도, DJI Matrice 300, Mavic Air 2 등 대기하고 있는 차세대 드론이 또 많습니다!!
한국에서는 언제쯤 DJI에 가까운 기술을 가진 드론이 개발이 될까요.. 제작 기술 격차는 최대 2년으로 이전보다 많이 줄었다고는 하는데, 역시 아직까지는 무리인듯 합니다. (가성비 등을 고려하면)
DJI 매빅3는 과연 어느정도의 가성비를 가지고 출시 하게될까요?
Intallaght에 따르면, 아마 $999 ~ $1500사이가 될 것이라고 추측한 바가 있는데, 확실한건 아닙니다.
매빅2 프로의 가격이 $1349 정도 했으니, 매빅3는 이것보다는 비싸거나, 비슷할 것 같네요.
ADS-B을 탑재하면 가격이 비싸질텐데, 성능이 동일하면서 가격을 낮춘 스펙으로 출시가 될지는 잘모르겠습니다.
매빅2 엔터프라이즈 가격도 꽤 비싸거든요.(ADS-B성능이 달려있음)
아마 나오게된다면, 매빅에어의 후속으로 나오던지, Skydio2를 저격할 수 있는 정도의 스펙을 구축해서 나올수도 있고 뭔가 완전히 변화된 모습으로 나올 수는 있을까요? 매빅3에 달려 출시할 수 있는 기술들은 사실 이미 다른 곳에서는
사용하고 있으니 색다른 무언가가 필요할 것 같아요.
시간이 지날수록 DJI에 대항하는 여러 업체들이 생길 것이라고 믿습니다. 독점은 아니되오(특히 중국)
자, 아무튼!
최근 DJI에서는 드론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10가지 주요단계가 포함된 "Elevating Safety"라는 백서를 발표했습니다. 이 10가지 단계 중 하나는, 모든 DJI 드론에 ADS-B 수신기를 설치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DJI Airsense"를 통해 DJI드론이 ADS-B 신호를 수신하고, 근처에 다른 항공기가 있는 확인하는 방법을 보여줄겁니다.
(Matrice 200, Mavic Enterprise(기업급) 드론에는 "DJI Airsense"가 이미 장착되어 있습니다.)
(DJI의 ADS-B수신기 관련은, https://youtu.be/YTHVFgESMuo)
Brendan Schulman이 DJI 및 전세계 드론 제조업체 및 정부에게 발표한 것은 대표적으로 10가지입니다.
유심히 한번 보고 가시죠~!
1. DJI will install ADS-B receivers in all-new drones above 250 grams
- 새로 출시할 모든 250g이상의 드론에 ADS-B 수신기 설치
2. DJI will develop a new automatic warning for drone pilots flying at extended distances
- 매우 먼거리에 비행하는 드론 조종자를 위한 새로운 자동경고 기능 개발
3. DJI will establish an internal Safety Standards Group to meet regulatory and customer expectations
- 각종 규제와 고객 기대에 부흥하기 위해 "내부 안전 표준 그룹"을 설립
4. Aviation industry groups must develop standards for reporting drone incidents
- 항공 산업체들은 드론 사건을 보고하기 위한 표준을 개발해야 할 것
5. All drone manufacturers should install geofencing and remote identification
- 모든 드론 제조업체는 원격 식별 기능과 지오펜싱기능을 설치해야 할 것
6. Governments must require remote identification
- 정부는 산업체들에게 "원격 식별"를 요구해야 할 것
7. Governments must require a user-friendly knowledge test for new drone pilots
- 정부는 새로운 드론 조종자들을 위해 "유저 친화적인 인터페이스(학습/제어)"를 요구해야 할것
8. Governments must clearly designate sensitive restriction areas
- 정부는 민감하다고 생각하는 제한 구역에 대해 명확하게 지정해야 할 것
9. Local authorities must be allowed to respond to drone threats that are clear and serious
- 지역 당국은 목적이 명확하고 심각한 드론 위협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할 것
10. Governments must increase enforcement of laws against unsafe drone operation
- 정부는 안전하지 않은 드론 운영에 대해 법 처벌을 강화하거나 증가시켜야 할 것
아직까지, 드론 시장, 드론 법규, 제조와 규격. 뭔가 딱 정해진 것은 없죠. 특히 법규에 대해서는 각국이 정말 노력 많이 해야합니다. 대한민국은 너무나도 법개정이 느리고, 발전하는 속도도 느리죠. (규제도 한몫 합니다!)
한국에서는 드론 산업 개발을 대기업이 진행하지 못하도록 막아놔서 그런지, 중소기업이 빠르게 발전하는 일은 아마 드물다고 봅니다. 그 역시, 쩐(?)에도 관련이 있겠구요. 한국 제조업체가 빨리 성장하면서 법 개정도 완화되었으면 하네요.
각 기관 및 업체분들, 조종자분들, 멀리 멀리 보자구요. 아직 우리는 갈 길이 멉니다.
사진, 글/주드론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ojdr2030@gmail.com